파비콘(Favicon) 완벽 가이드: 크기별 제작부터 등록까지 (PC, 모바일 완벽 지원)
파비콘이란?
파비콘(Favicon)은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작은 아이콘으로, 브라우저 탭, 즐겨찾기 목록, 검색 결과 등에 표시되어 웹사이트의 시각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이 가이드에서는 파비콘을 크기별로 제작하고, 다양한 플랫폼에 등록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안내합니다.
1단계: 파비콘 디자인 및 제작 🎨
어떤 디자인으로 할지 미리 생각해 봅니다. 그다음은 이미지 제작을 합니다. PNG, ICO, SVG 등 다양한 형식을 지원하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: Adobe Photoshop, GIMP 등을 이용해 웹사이트의 로고, 브랜드 컬러, 또는 특징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파비콘 디자인을 구상합니다.
2단계: 파비콘 크기별 제작 📏
다양한 디바이스 및 브라우저에서 최적화된 파비콘을 표시하기 위해 여러 크기의 파비콘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.
다음은 주요 크기별 파비콘 제작 가이드입니다. (필수 크기 외 추가적인 크기 제작도 고려)
크기 (픽셀) | 용도 | 형식 | 비고 |
16x16 | 브라우저 탭, 즐겨찾기 목록 (기본 파비콘) | ICO, PNG | |
32x32 | 브라우저 탭 (고해상도 디스플레이), 작업 표시줄 아이콘 | ICO, PNG | |
48x48 | 브라우저 주소 표시줄 | ICO, PNG | |
96x96 | Google Chrome (데스크톱) | PNG | |
180x180 | iOS (iPhone, iPad) 홈 화면 아이콘 | PNG | Apple Touch Icon (별도 등록 필요) |
192x192 | Android 홈 화면 아이콘 | PNG | Android Manifest (별도 등록 필요) |
SVG | 확장 가능한 벡터 그래픽, 다양한 크기에서 깨짐 없이 선명하게 표시 가능 | SVG | 최신 브라우저 지원, 다크 모드 지원 (prefers-color-scheme 미디어 쿼리 활용) |
3단계: 파비콘 등록 (웹사이트에 적용) 🌐
크기별로 준비된 파비콘을 스킨편집의 '파일업로드'의 /images(이미지 폴더)에 올리고, 그 파일을 활성화할 html 코드를 등록해 주면 됩니다.
파비콘 등록
웹사이트의 <head> 태그 안에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.
<link rel="icon" href="/images/favicon.ico" sizes="any">
<link rel="icon" href="/images/favicon.svg" type="image/svg+xml">
<link rel="apple-touch-icon" sizes="180x180" href="/images/apple-touch-icon.png">
<link rel="manifest" href="/images/site.webmanifest">
파란색 부분은 주소입니다. "/images/파란 부분(아이콘이름)" 이렇게 쓰면 됩니다.
설명
href 속성에는 파비콘 파일의 경로를 입력합니다. (예: /images/favicon.png)
sizes 속성에는 파비콘의 크기를 지정합니다.
type 속성에는 파일 형식을 지정합니다.
rel="apple-touch-icon"은 iOS 기기에서 홈 화면에 추가될 때 사용할 아이콘을 지정합니다.
rel="manifest"는 Android 기기에서 홈 화면에 추가될 때 사용할 웹 앱 매니페스트 파일을 지정합니다.
웹 앱 매니페스트 (site.webmanifest) 설정 (선택 사항): Android 기기에서 홈 화면에 추가될 때 사용할 웹 앱 매니페스트 파일을 생성하고, 다음 정보를 입력합니다.
{
"name": "웹사이트 이름",
"short_name": "짧은 이름",
"icons": [
{
"src": "/android-chrome-192x192.png",
"sizes": "192x192",
"type": "image/png"
},
{
"src": "/android-chrome-512x512.png",
"sizes": "512x512",
"type": "image/png"
}
],
"theme_color": "#ffffff",
"background_color": "#ffffff",
"display": "standalone"
}
설명
name 속성에는 웹사이트의 이름을 입력합니다.
short_name 속성에는 웹사이트의 짧은 이름을 입력합니다. (홈 화면에 표시)
icons 속성에는 파비콘 파일의 경로, 크기, 형식을 지정합니다.
theme_color 속성에는 웹사이트의 테마 색상을 지정합니다.
background_color 속성에는 배경 색상을 지정합니다.
display 속성에는 웹 앱 실행 모드를 지정합니다. (standalone: 전체 화면 모드)
4단계: 확인 및 테스트 ✅
캐시 삭제: 브라우저 캐시를 삭제하고 웹사이트를 다시 방문하여 파비콘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.
다양한 브라우저 및 기기 테스트: Chrome, Firefox, Safari 등 다양한 브라우저와 PC, 모바일 기기에서 파비콘이 올바르게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.
쉽게 만드는 법!!
하지만 일일이 여러 크기를 만들려면 번거로우므로 FaviconGenerator, 파비콘 제너레이터를 이용해 한번에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https://www.favicon-generator.org/
Favicon & App Icon Generator
Upload an image (PNG to ICO, JPG to ICO, GIF to ICO) and convert it to a Windows favicon (.ico) and App Icons. Learn more about favicons.
www.favicon-generator.org
① 미리캔버스나ㅡ 캔바로 원하는 이미지를 크기에 상관없이 만든다. 그리고 Favicon generator
② Favicon generator에서 파일을 업로드하면 만들어 준다. 다운로드해, html 편집에서 파일 업로드에 넣어 준다.
③ html 코드를 복사한다.
④ html 편집에서 <head> 아래 넣어 준다.
어떠셨나요?
잘 만드셨기를 바랍니다.